fnctId=bbs,fnctNo=455 분류 전체 > 재난인문학강좌 하위분류이(가) 없습니다. RSS 2.0 10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제14회 재난인문학강좌: 재난의 치유와 미술 제3강> 시대의 재난을 이겨낸 여 작성자 사업단 조회 208 첨부파일 9 작성일 2021.10.14 제9회 재난인문학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41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11.09 일상화된 재난 속에서 여성에게 재난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돌아봄으로써 우리 사회 속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대하여 시민과의 공감과 소통의 시간을 갖고자 한다. 제8회 재난인문학 작성자 사업단 조회 331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11.09 제7회 재난인문학 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25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10.22 개인과 일상 그리고 재난’이라는 주제를 통해 다양한 인문학 영역들로부터 재난의 기억을 소환하고, 성찰하며, 이를 치유하기 위한 지혜들을 함께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제6회 재난인문학 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247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10.22 제5회 재난인문학 강좌 - 재난과 영화 2 작성자 사업단 조회 28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6.23 인간의 삶에서 분리될 수 없는 재난이란 문제를 영화란 매개체를 통하여 인문학적 성찰의 기회를 가짐과 동시에 위험사회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제4회 재난인문학 강좌 - 미술로 읽는 재난 작성자 사업단 조회 97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5.27 전쟁, 국가폭력, 경계인으로서 디아스포라 등 국가적 혹은 개인의 재난 상황 속에서 꽃 피운 예술혼을 살펴보고, 미술이란 매개체를 통하여 재난 문제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돌아보는 기회를 갖는다. 제1회 재난인문학 강좌 - 재난의 기억과 인식 작성자 사업단 조회 73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인간의 삶은 언제나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자연재해와 인재를 포함한 재난의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재난을 직접 겪는 사람은 물론이고, 그것을 바라보는 사회구성원들도 같은 상처(트라우마)가 남게 마련입니다. 피할 수 없는 재난들을 어떻게 기억하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우리들의 대응 방식도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재난’과 ‘인간’ 그리고 ‘사회’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면, 재난에 대한 연구는 곧 인문학의 연구 영역이기도 합니다. 재난이 역사와 사상, 그리고 사회 규범 및 구조의 변화에 끼치는 지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이는 인문학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재난과 인간의 상호 관계, 극복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인문학의 오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동시에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조선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는 (재난)인문학의 지역적 확산을 목표로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인문학 서비스 제공과 치유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운영되는바, 그 첫 번째 프로그램으로 오는 10월 15일부터 재난인문학강좌 를 개최합니다. 제3회 재난인문학 강좌 - 감염병과 현대인의 삶 작성자 사업단 조회 106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2015년 메르스, 올해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 사태는 우리의 일상적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의 경제적 활동과 교류를 멈추게 했습니다. 감염병에 의한 재난이 일상화되고 현재화되어 가는 상황입니다. 이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에서는 감염병이 우리의 삶과 문화, 역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자 ‘감염병’을 주제로 연속 강좌를 기획했습니다. 어느 시대나 신종 감염병의 창궐은 인간의 탐욕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경고에 주목하고, 인문학적 성찰을 통하여 그 대체 방안을 찾아가고자 합니다. 처음 1 2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