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455 분류 전체 > HK+인문학강좌 하위분류이(가) 없습니다. RSS 2.0 8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지역민을 위한 HK⁺인문학 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249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9.02 다산의 흔적을 따라가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진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 방식을 정리하면서 우리의 사진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지역민을 위한 HK⁺인문학 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198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9.02 목포지역 주민 대상으로 역사 문화와 철학·예술에 관계된 인문학 특강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적 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체험을 심화시키는 계기를 제공한다. 지역민을 위한 HK+ 인문학강좌 - 공감 그리고 인문학 작성자 사업단 조회 161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인문학의 지역적 확산을 목표로 운영되는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는 목포문화원과 연계하여 목포지역 주민 대상으로 목포의 역사 문화와 예술에 관계된 인문학 특강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적 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체험을 심화시키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지역민을 위한 HK+ 인문학강좌 - 근대도시 목포를 거닐다 작성자 사업단 조회 192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인문학의 지역적 확산을 목표로 운영되는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는 목포의 ㈜만인계 마을기업과 연계하여 마을축제의 일환으로 목포지역 주민 대상으로 목포의 역사 문화와 예술에 관계된 인문학 특강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적 정체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인문학에 대한 체험을 심화시키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청소년을 위한 HK+ 인문학강좌 작성자 사업단 조회 16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청소년들이 ‘나는 누구인가?’란 물음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인문학적 감수성을 배양하여 책임감있는 독립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주 제 : 미래의 나와 만나는 여정 ▪일 시 : 2020. 1. 30.(목) ~ 2020. 2. 7.(금) ▪장 소 : 광주영신원 ▪대 상 : 광주영신원 고등학생 대상 ▪강의 내용순서/일시주 제강 사1강2020. 1. 30.(목)15시∘ 자기개방과 자기 이해, 그리고 타인이해심상우(명지대학교) 박남희(희망철학연구소 소장)2강2020. 1. 31.(금)10시∘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불만과 만족의 발견, 사랑하며 사는 삶3강2020. 2. 6(목)15시∘ 아름다운 나를 말한다.내가 보는 나와 남이 보는 나4강2020. 2. 7.(금)10시∘ 나의 미래를 말하기꿈찾기, 노동의 의미, 행복지도 그리기 주관 : 조선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후원 : 한국연구재단 HK+ 인문학강좌 - 남도의 인물과 역사적 정체성 작성자 사업단 조회 9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조선대학교 지역인문학센터는 인문학의 지역적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광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취지에서 남도의 인물을 통해 남도의 역사에 면면히 흐르는 예(禮)와 의(義)의 정신, 그리고 남도 사람들의 삶의 애환을 들여다보며, 인문학적 사유의 깊이를 더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HK+ 인문학강좌 - 그림과 함께 읽는 한국고전문학 작성자 사업단 조회 59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사업단, 한국시가문화학회, 은암미술관이 힘을 합하여 한국고전문학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예로부터 ‘시화일체(詩畵一體)’라 하여 문학과 그림은 아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그래서 문학 작품이 그림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그림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이 창작되기도 하였으며, 문학 작품과 그림이 한 화폭에 공존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그림과 함께 읽는 한국고전문학’이라는 제목의 강좌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광주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HK+ 인문학강좌 - 남도의 언어와 문화 작성자 사업단 조회 84 첨부파일 0 작성일 2020.04.09 남도 지역 토박이말 조사 및 연구 성과를 전문학자와 학생 및 일반인들이 폭넓게 공유함으로써 남도 지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남도말로 영위해 온 남도인의 삶과 언어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이해를 꾀함으로써 남도의 언어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처음 1 끝